• Working for a futurewhere all people in the worldshare the joy of health

새소식

게시판 내용
공보의 ‘공동화 현상’ 대책마련 시급
관리자
조회수 : 5066   |   2005-01-07
치전원 도입으로 대상자 급감 예상 … 공공구강보건체계 공백 우려

지난해 치과계를 떠들썩하게 했던 이슈 중 하나는 치의학전문대학원(이하 치전원)의 본격적인 시행이었다. 전국 5개 대학에서 실시한 치전원 신입생 모집 전형결과, 우수두뇌를 유치한다는 애초의 취지와는 어느 정도 맞아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런 순기능의 이면에는 공중보건의 대상자의 급감이라는 암초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미 보도되었던 것처럼(本紙 2004년 12월 27일자 표지기사 참조) 치전원 합격자들 일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군미필자로 예상되는 25세 이하 남학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 합격자의 14%에 불과했다. 이는 치전원 도입 준비과정에서부터 나오기 시작했던 우려가 현실화 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현재 공중보건치과의사가 공공구강보건의 시행에서 떠안고 있는 역할은 매우 크다.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치아홈메우기 사업 등 공공구강보건사업은 공보의가 없으면 시행 자체를 논의하기 힘든 상황. 실제로 치협이 지난 2003년에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 1,511개의 보건(지)소는 치과의사 정원이 1,211명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 활동 중인 치과의사는 1,007명뿐이며, 이중 공보의가 차지하는 비중은 96%로 절대적이다.


치협 이병준 치무이사는 “현재대로 가면 보건소의 구강보건실은 공백상태가 되는데, 이들이 빠지게 되면 공공구강의료를 진행할 말단 조직체계가 무너지게 되는 셈”이라고 밝히고, “복지부에서 구강보건을 바라보는 시각 자체가 비만이나 흡연과 같은 부수적인 부분으로 생각하는 것이 문제”라고 설명했다.


구강정책과 박민수 과장은 “공보의 문제의 심각성은 파악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하고 “이는 치과만의 문제는 아니므로 의과와 함께 대책을 마련하고 같은 시스템으로 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복지부의 이러한 반응은 과연 공공구강의료체계 공백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지 의문시되는 대목이다. 전국 41개 의과대학 중 의학전문대학원제로 전환하거나 전환 예정인 대학은 11개 학교로, 전체의 27%만 의전원제를 통해서 선발되며, 이 중 2개 대학은 정원의 절반만 전환되므로 실제로 의전원 출신자의 비중은 이보다도 낮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치과대학의 경우에는 절반이상이 학교가 전환했거나 전환예정일 정도로 심각해 의과와 동일선상에서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복지부의 측의 태도는 가뜩이나 의과 중심의 지역 보건(지)소 운영에 개선을 요구하고 있는 치과계로서는 답답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이준호기자 honphoto@sseminar.net


* 본 기사는 세미나리뷰에서 발췌한 기사입니다.

게시판 이전/다음글
이전글 임프란트에‘정통보철’새바람
다음글 무차별 휴대폰 사용 “의료장비 오작동 원인"